【최신 공개】 버핏의 선택: 버크셔 헤서웨이 2025년 1분기 13F 분석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금융시장의 큰 이슈인 버크셔 헤서웨이의 2025년 1분기 13F 공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5월 15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이번 13F 보고서는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 어떤 투자 전략을 펼치고 있는지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13F 보고서란?
먼저, 13F 보고서란 무엇일까요? 이는 자산 규모가 1억 달러 이상인 기관 투자자들이 분기마다 SEC에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보고서로, 보유 중인 상장 주식의 종류와 수량을 공개하는 자료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보고서를 통해 대형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변화와 투자 흐름을 파악할 수 있죠.
버크셔 헤서웨이 2025년 1분기 포트폴리오 요약
2025년 1분기 기준 버크셔 헤서웨이의 포트폴리오 가치는 약 2,590억 달러로, 이전 분기의 2,670억 달러에서 소폭 감소했습니다. 버크셔는 총 36개의 종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위 10개 종목이 전체 포트폴리오의 89.0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버크셔 헤서웨이 2025년 1분기 상위 보유 종목
아래는 2025년 3월 31일 기준 버크셔 헤서웨이의 상위 보유 종목입니다:
순위 | 종목명 | 티커 | 포트폴리오 비중 |
---|---|---|---|
1 | 애플 | AAPL | 25.76% |
2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AXP | 15.77% |
3 | 코카콜라 | KO | 11.07% |
4 | 뱅크오브아메리카 | BAC | 10.19% |
5 | 쉐브론 | CVX | 7.67% |
주요 포트폴리오 변화
1. 금융주 대폭 축소
이번 분기 버핏의 가장 눈에 띄는 행보는 금융 섹터에 대한 대규모 투자 축소였습니다.
- 씨티그룹(C): 보유하고 있던 1,463만 9,502주를 전량 매각했습니다. 지난 2022년 1분기부터 보유해 온 씨티그룹 지분을 모두 처분한 것입니다.
- 뱅크오브아메리카(BAC): 4,866만 주를 추가 매도하여 기존 보유 지분의 7% 이상을 축소했습니다. 이는 3분기 연속으로 BAC 지분을 축소한 결과이나, 여전히 BAC의 대주주 자리는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보유 지분은 약 6억 3,160만 주(260억 달러 규모)입니다.
- 캐피털원(COF): 약 30만 주(전체 지분의 약 4%)를 매각했습니다.
2. 지분 추가 및 신규 투자
버크셔는 금융주를 매각한 자금으로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에 새롭게 투자하거나 기존 투자를 늘렸습니다.
지분 증가 종목:
- 풀 코퍼레이션(POOL): 지분 145% 증가
-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지분 114% 증가
- 헤이코 코퍼레이션(HEI): 지분 11% 증가
- 도미노피자(DPZ): 지분 10% 증가
- 시리우스 XM 홀딩스(SIRI): 지분 2% 증가
- 옥시덴탈 페트롤리엄(OXY): 1% 미만 증가
- 베리사인(VRSN): 1% 미만 증가
3. 전량 매각 및 지분 축소
버핏은 다음 종목들을 전량 매각했습니다:
- 씨티그룹(C): 100% 매각
- 누 홀딩스(NU): 100% 매각 - 암호화폐 노출이 있는 라틴 아메리카 디지털 은행
또한 다음 종목들의 지분을 축소했습니다:
- 포뮬러 원(FWONK): 48% 축소
- T-모바일 US(TMUS): 11% 축소
- 뱅크오브아메리카(BAC): 7% 축소
- 캐피탈 원 파이낸셜(COF): 4% 축소
- 다비타(DVA): 3% 축소
- 차터 커뮤니케이션즈(CHTR): 1% 미만 축소
4. 애플 지분 유지
버핏은 애플(AAPL) 지분 3억 주를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이는 약 666억 달러 규모로, 버크셔의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단일 주식으로는 가장 큰 비중(약 25.76%)을 차지합니다. 애플을 비롯한 일부 IT·소비재 종목에 대해서는 장기 보유 전략을 고수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버크셔 헤서웨이 2025년 1분기 완전한 포트폴리오
다음은 2025년 1분기 버크셔 헤서웨이의 전체 주식 포트폴리오입니다:
종목명 | 티커 | 주식 수 | 포트폴리오 비중 | 변동 |
---|---|---|---|---|
애플 | AAPL | 300,000,000 | 25.76% | 유지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AXP | 151,610,700 | 15.77% | 유지 |
코카콜라 | KO | 400,000,000 | 11.07% | 유지 |
뱅크오브아메리카 | BAC | 631,600,000 | 10.19% | -7% |
쉐브론 | CVX | 118,610,534 | 7.67% | 유지 |
옥시덴탈 페트롤리엄 | OXY | 264,200,000+ | 4.89% | <1% 증가 |
무디스 | MCO | 24,669,778 | 4.37% | 유지 |
크래프트 하인즈 | KHC | 325,634,818 | 3.74% | 유지 |
처브 리미티드 | CB | 27,033,784 | 2.80% | 유지 |
다비타 헬스케어 | DVA | 35,000,000+ | 2.02% | -3% |
종목명 | 티커 | 주식 수 | 포트폴리오 비중 | 변동 |
---|---|---|---|---|
크로거 | KR | 50,000,000 | 1.14% | 유지 |
베리사인 | VRSN | 13,300,000+ | 1.03% | <1% 증가 |
시리우스 XM 홀딩스 | SIRI | 120,000,000+ | 1.00% | +2% |
비자 | V | 8,297,460 | 0.98% | 유지 |
아마존 | AMZN | 10,000,000 | 0.82% | 유지 |
마스터카드 | MA | 3,986,648 | 0.79% | 유지 |
에이온 | AON | 4,100,000 | 0.55% | 유지 |
캐피털 원 파이낸셜 | COF | 7,150,000 | 0.50% | -4% |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 STZ | 12,000,000+ | 0.47% | +114% |
앨라이 파이낸셜 | ALLY | 29,000,000 | 0.39% | 유지 |
도미노스 피자 | DPZ | 2,620,000 | 0.37% | +10% |
T-모바일 US | TMUS | 3,870,000 | 0.36% | -11% |
리버티 미디어 | LLYVK | 10,917,661 | 0.28% | 유지 |
차터 커뮤니케이션즈 | CHTR | 1,980,000 | 0.26% | <1% 축소 |
포뮬러 원 | FWONK | 3,536,000 | 0.24% | -48% |
루이지애나-퍼시픽 | LPX | 5,664,793 | 0.22% | 유지 |
풀 코퍼레이션 | POOL | 1,466,000+ | 0.08% | +145% |
하이코 | HEI.A | 1,165,000 | 0.07% | +11% |
NVR | NVR | 11,112 | 0.03% | 유지 |
다이제오 | DEO | 227,750 | 0.01% | 유지 |
제퍼리스 파이낸셜 | JEF | 433,558 | 0.01% | 유지 |
전량 매각된 종목:
- 씨티그룹 (C): 1,463만 9,502주 (100% 매각)
- 누 홀딩스 (NU): 4,018만 168주 (100% 매각)
현금 보유액 증가
버크셔는 1분기에 31억 8,000만 달러어치의 주식을 매수하고, 46억 8,000만 달러어치의 주식을 매각했습니다. 이는 10분기 연속으로 주식을 순매도한 것으로, 이에 따라 2025년 3월 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3,477억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버핏의 투자 전략 분석
금융주 축소의 배경
버핏이 금융주를 대폭 축소한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있습니다:
- 금융시장 변동성 증가: 최근 금리 정책 변화와 경기 사이클 전환으로 금융 섹터의 불확실성이 커졌습니다.
- 경기침체 우려: 버핏은 경기 둔화 조짐과 가능한 침체에 대비하여 방어적 포지션을 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규제 환경 변화: 금융 산업을 둘러싼 규제 환경의 변화가 장기적인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현금 확보 전략
버핏이 10분기 연속 순매도를 하며 현금을 늘리는 행보는 다가오는 시장 조정이나 위기에 대비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투자 기회 대기: 대규모 현금을 보유함으로써 시장이 하락할 경우 좋은 기업들을 저평가된 가격에 매수할 기회를 노리고 있습니다.
- 불확실성 대비: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증가와 자산 가격의 고평가 상태를 우려하는 신호입니다.
- 버크셔의 안정성 유지: 대규모 현금 보유는 회사의 재무 안정성을 강화하고, 어떤 시장 상황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버퍼를 제공합니다.
버크셔 헤서웨이의 성과
2025년 들어 버크셔 헤서웨이의 주가는 약 11% 상승했으며, 5월 15일(현지시간) 기준으로 A주는 0.78% 상승한 75만 9,100달러에 마감했습니다. 버핏의 장기 투자 전략과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관리가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버핏의 은퇴 준비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소식은 94세인 버핏이 2025년 말까지 버크셔 헤서웨이 CEO 자리에서 물러날 예정이라는 점입니다. 그는 그렉 아벨(Greg Abel)에게 경영권을 넘기지만, 이사회 의장직은 계속 유지할 예정입니다. 이는 버크셔의 미래 투자 전략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자를 위한 시사점
- 방어적 포지션 고려: 버핏의 현금 확보 전략은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서 방어적 포지션을 취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 장기적 관점 유지: 애플처럼 기본적으로 탄탄하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대한 장기 투자 전략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 새로운 기회에 주목: 버핏이 새롭게 투자하거나 지분을 늘린 기업들(컨스텔레이션 브랜즈, 풀 코퍼레이션 등)의 사업 모델과 성장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경기 사이클 주의: 금융주 매각은 경기 사이클 변화에 대한 경계심을 반영하므로, 개인 투자자들도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고려해 볼 시점입니다.
결론
워런 버핏의 2025년 1분기 13F 공시는 현재 시장 상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금융주 축소와 현금 보유 증가라는 그의 선택은 불확실한 시장에서 신중함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줍니다. 투자자들은 버핏의 행보를 참고하되, 자신만의 투자 철학과 목표에 맞는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버핏의 최근 투자 전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공유해 주세요!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모델하우스 현장 리뷰: 발코니 확장 유상 옵션의 함정 (1) | 2025.05.19 |
---|---|
13억인데 비역세권? 고척푸르지오힐스테이트 실거주자 입장에서 본 심층 분석 (0) | 2025.05.19 |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학군 분석, 교육 환경 해부하기 (0) | 2025.05.11 |
녹번 이편한세상캐슬 vs 대조힐스테이트 메디알레 : 실거주자가 알려주는 비교 총정리! (3) | 2025.05.09 |
은평구 실거주민이 바라본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장점 소개 (1) | 2025.05.07 |